왜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려고 했을까요?
배경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배경
동방과의 직접 교류 욕구 증대 | * 십자군 전쟁이후 동방 물품 수요 증가,동방에 대한 관심 고조-> 이슬람 상인의 무역 독점으로 값이 높아져 직접 교역로 개척 필요 |
과학 기술의 발달 | * 지리학, 천문학, 선박과 지도 제작 기술 발달, 나침반 이용 |
동방의 관심이 있었어도 기술의 발달이 못 받쳐줬으면 신항로 개척이 이루어지기 힘들었겠지만, 지리학, 천문학 나침반이용으로 먼바다로 나갈 수 있게 되는 등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신항로 개척을 할 수 있었다.
중간에 오스만 제국이 없고 유럽에서 아시아로 직거래가 이루어진다면 싼 가격에 물건을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항로 개척을 하게 되었다.
2) 전개 과정
인도로 가는 것이 목적이었는데 동쪽에는 오스만제국이 있었기 때문에 유럽에서부터 남쪽으로 내려와 아프리카 끝쪽에까지 오게 되는데 거기를 폭풍의 곶이라 불렀는데 거기를 돌면 턴할수 있는 곳이 되는데 이곳이 나중에 희망봉(희망을 주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라 불리게 된다.
바르톨로메우 디아스가 희망봉을 발견하게 되고, 그 후 바스쿠 다 가마가 희망봉을 거쳐 인도 항로를 개척하게 된다.
당시 유럽의 무역은 지중해를 중심으로 되었는데 오스만제국이 이탈리아를 통해서 동방의 물건들이 들어오게 되었는데 그 중심이 지중해였다.
지중해를 중심으로 무역을 하게 되면 지중해 끝쪽의 지역들이 소외되었는데 그래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가 새롭게 항로를 개척하게 된다.
콜럼버스가 인도로 갈 수 있는 새로운 길을 개척하게 된다.
지구가 둥글다고 생각하면 서쪽으로 가면 인도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당시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콜럼버스는 에스파냐의 지원을 받아 대서양을 거쳐 인도양을 가려하였다.
하지만, 콜럼버스가 인도라고 생각했던 곳은 실제 아메리카대륙(서인도제도)이었다.
콜럼버스는 죽을 때까지 자기가 발견한 곳이 인도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마젤란 일행이 서쪽으로 쭉 가다가 필리핀 도착하게 되고 마젤란이 필리핀에서 죽게 되지만 남은 일행은 그 이후 더 거쳐서 다시 국가로 되돌아오게 되는데 이것이 최초의 세계 일주가 되었다. 이것으로 지구가 둥글다는 지구 구형설을 입증되었다.
바르톨로메우 디아스(포르투갈) | * 아프리카의 희망봉 항로 개척 |
바스쿠 다 가마(포르투갈) | * 아프리카의 희망봉을 거쳐 인도 항로 개척 |
콜럼버스(에스파냐) | * 대서양 항로로 아메리카 대륙의 서인도 제도 도착 |
마젤란 일행(에스파냐 | * 최초의 세계 일주-> 지구 구형설 입증 |
아메리카대륙까지 왔다 갔다하면 콜럼버스일행이 되고, 출발에서 쭉 돌아한 바퀴 돌고 오면 마젤란 일행이 된다.
항해로를 보고 누구인지 파악할 수 있다.
3) 신항로 개척의 영향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는데 본래 토착민들이 있었는데 이 사람들이 파괴하였다.
원주민을 이용하여 금은등을 수탁하고 플랜테이션 농장을 운영하였는데, 플랜테이션 농장은 특정한 단일 작물을 대량으로 재배하는 농장을 일컫는다.
당시 원주민들은 이 사람들을 하늘에서 내려온 신이라 생각했다.
아메리카 토착 문명 파괴와 식민지배 | * 코르테스(에스파냐)-아스테카(아즈텍) 제국 정복 피사로(에스파냐)-잉카제국 정복 * 원주민을 동원하여 금,은 수탈,플랜테이션 농장 건설-> 고된 노동과 천연두, 홍역 등의 질병으로 원주민 인구가 급감 |
본래무역은 지중해중심의 무역밖에 없었는데 이제는 대서양을 통해서 가니까 남쪽으로 내려가서 인도로 갈 수 있게 갈 수 있고 서쪽으로 가면 아메리카대륙도 있어서 무역의 중심지가 지중해에서 대서양으로 중심이자 이동하게 된다.
유럽과 아메리카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삼각무역이 이루어지면서 교역기 확장되게 된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설탕이나 담배 목화등을 대량으로 재배해서 유럽에 판매를 하고, 중국의 비단, 차, 동남아시아의 향신료를 구입하면서 아메리카의 은은 지불하게 되는데, 지금 아메리카대륙에서 금과 은을 채굴해서 지불하는 교역망이 채결되게 된다.
교역망의 확장 | * 대서양 무역 : 무역의 중심지가 지중해에서 대서양으로 변동 * 삼각 무역 : 유럽- 아메리카-아프리카 연결 * 상품 작물 재배 : 아메리카 대륙에서 설탕, 담배, 목화 등을 재배하여 유럽에 판매 * 세계적인 교역망 형성 : 중국의 비단, 차, 동남아시아의 향신료를 구입하면서 아메 리카의 은 지불 |
신항로개척에 나섰던 여러 인물들과 각각 어떤 항해를 했었는지 신항로개척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어떻게 무역이 변화되었는지가 이번 신항로 개척의 핵심 포인트이다.
아프리카를 공약해서 무기나 장식품을 팔고 노예를 아메리카 대륙에 팔았다.
아메리카 대륙에 있던 원래 문명들이 파괴되면서 이 사람들이 고되 노동과 천연두나 홍역과 같은 질병등으로 많이 사망하게 되어 인구가 급감하게 되는데 인구가 줄어든다는 것은 일할 노동력이 없으므로 농장을 만들고 일할사람들이 필요한데 그 사람들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아프리카에서 노예를 데려다가 아메리카 대륙에서 일을 시켰던 것입니다.
본래는 지중해중심의 무역에서 신항로 개척 후 대서양중심의 무역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아메리카대륙에서 새로운 작물이 유럽에 전래되고, 물가가가 상승하게 되는데 물가란 물가의 가격을 뜻하는 것으로 본래 100원에 살 수 있었던 것은 200원에 사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화폐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된 이유는 아메리카대륙에서 은 등의 귀금속을 채굴하여 유럽에 많이 들어오게 되는데 이렇게 많이 유입되면서 은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물가가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가격혁명)
아프리카의 노예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가게 되면서 아프리카대륙의 인구도 급감하게 된다.
유럽의 변화 | * 새로운 작물의 전래 : 아메리카 대륙의 감자, 담배, 옥수수, 토마토 등 유럽 전래 * 물가 상승 : 귀금속이 들어오면서 물가가 급등하여 가격 혁명 * 자본주의 발달으 ㅣ토대 마련 : 상공업과 금융업 발달 |
아프리카 | * 노예 무역으로 인구 급감 |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후금,홍타이지,누르하치,베이징,팔기군,신사층,만한병용 (0) | 2023.09.04 |
---|---|
명의 건국과 발전 홍무제,영락제,정화의함대파견,홍건적의 난,베이징천도,이갑제 (0) | 2023.09.01 |
유럽의 절대 왕정,왕권신수설,중상주의,상비군,무적함대,루이14세,엘리자베스1세,펠리페2세 (0) | 2023.08.31 |
1. 이슬람 제국의 성립과 발전 (1) | 2023.08.28 |
벌거벗은 세계사75화 < 위기의 지구, 인류 멸망의 시그널> (1) | 2022.12.02 |
댓글